◦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, 사회재활 능력향상, 무장애 사회형성
- 사회적 약자로 분류되는 장애인의 욕구를 메이커스 활동을 통해 장애로 인한
불편함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강화
- 무장애 사회형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
- 장애인 메이커 양성으로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연계한 제조·창착의 디지털화를
통해 장애인의 직업재활 능력 향상
◦ 장애인 메이커스 구축 및 저비용 고효율의 장애인 일상생활보조기기 메이커 문화 확산
- 현재 지원되고 있는 장애인보조기기는 고가의 수입장비에 의존하여 높은
구입비와 유지비가 필요하거나 저가의 저성능 보조기로 구분됨에 따라 저비용
고효율에 대한 메이커문화 확대가 필요
- 장애인 메이커스 랩을 통한 맞춤형 생활보조기기 메이커 문화 저변확대와 메이커
문화 확산 거점 조성
- 운영기관에서 장애인 일상생활보조기기 시제품제작소를 운영하여 저비용
고효율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보급
1) 장애인일상생활보조기기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및 운영
- 메이커스페이스 기자재 확보, 디지털 장비설치 및 수공구, 안전장비 구입 및 설치,
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환경 조성
- 장애인들이 3D 스캐너, 프린터 등을 활용한 일상생활보조기기를 직접 제작 할 수
있는 공간 마련
- 운영시간 : 월~금09:00~18:00, 토요일09:00~13:00(국가공휴일 휴무)
- 대상자 : 일상생활보조기에 관심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200여명
2) 메이커 양성교육
- 교육명 : 장애인 일상생활보조기기 메이커 양성교육
- 교육대상 : 3D프린팅 및 4차 산업 관련 장애인일상생활보조기기에 관심 있는 장애인
및 비장애인
- 교육내용 : 아두이노, 3D 모델링 및 프린팅, IOT, 레이저커터기 등 장비와 공구를 활용한
일상생활보조기기 메이커 교육 5개 과정 진행
3) 장애인일상생활보조기기 ICT메이커톤 개최
- 장애인의 ICT분야(정보통신기술)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관심을 고취,
장애인이 정보통신기술에 더욱 쉽게 접하고 활용하여 재활 의지를 높이는 데 기여
- 장애인 일상생활보조기기에 대한 메이커스 창작활동과 연계한 아이디어 제안 및
실현, 체험용 KIT 개발
- 대회 기간 : 2019년 11월 9일~10일 / 1박 2일
- 참여 인원 : 장애인 및 비장애인 42명(10팀) + 활동보조인 및 운영요원 20명 => 총 62명
*팀별 4~6명씩(장애인+비장애인 또는 장애인으로 구성)
- 대회진행방법 : 장애인 생활보조기기와 아이디어 생활용품(행사상품)을 주제로
개발자, 엔지니어, 디자이너 등 팀을 이뤄 정해진 시간 동안 마라톤처럼 쉬지 않고
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고, 이를 시제품으로 구현, 시연평가 및 발표평가 진행
- 지원내용 : 팀별 30만원 내외의 재료 및 부품비 지원
- 시상내역 : 대상(1팀), 최우수상(1팀), 우수상(1팀), 베스트아이디어상(2팀). 참가사(5팀)
- 장애인편의시설을 갖춘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및 공간 제공
- 장애인 일상생활보조기기 메이커양성 38명
- 장애인 드론코딩지도사 자격증 취득 15명
- 장애인 맞춤형 일상생활보조기기 지원 5명
- 장애인 일상생활보조기기 아이디어 제안 10건
- 지역 행사장 내 메이커 체험부스 운영으로 메이커문화 확산